인터넷역학

2021년 7월 11일 일요일

지지 해석의 문제점 - 지장간 본기

 십간으로 해석한 지지가 바로 지장간이다.


지지 자체는 사주체계에 맞지 않는 구조인데 육십갑자를 이루는 기본 구성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써야만 한다.  사주체계는 십간이 기준이다. 때문에 지지를 십간으로 해석해야만 비로소 쓸 수 있는 것이다. 그 해석의 결과가 지장간이다.

지장간은 필연적으로 불합리한 모양새를 띨 수 밖에 없다. 12개를 10개로 해석하니 문제점이 나올 수 밖에 없다.

십신의 구조는 양음 양음 양음..의 규칙성이 있다. 그런데 이 규칙이 지지에서 깨져버린다.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壬 癸 己 甲 乙 戊 丙 丁 己 庚 辛 戊

양음 - 양음
-----------
해자 - 임계
인묘 - 갑을
사오 - 병정
신유 - 경신

여기까지는 좋다.

가.
축 - 기
진 - 무
미 - 기
술 - 무

여기까지도 좋다.

문제는 이것들을 결합했을 때 나타난다. 임계 다음에는 戊가 와야 하지만 己가 왔다. 병정 다음에는 戊가 와야 하지만 己가 왔다.

이 문제를 고치기 위해 조합을 달리 해보자. 그렇게 되면 아래와 같이 되어야 한다.

나.
축 - 무
진 - 무
미 - 무
술 - 무

축진미술 앞에는 음오행이 오기 때문에 축진미술은 항상 양토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己가 사라지는 기가 막힌 일이 벌어진다. 양음의 규칙성을 지키려고 하면 십간 하나가 사라지는 것이다. 이것 또한 올바른 배열이 아니다.

만약 아래와 같은 배열을 사용한다면 어떨까?

다.
축 - 무
진 - 기
미 - 무
술 - 기

가. 와 다. 간의 차이가 있을까? 문제점은 똑같다. 가. 구조나 다. 구조나 양음의 규칙성이 어긋나는 것은 마찬가지다. 그런데 왜 가. 의 구조가 사용될까? 그 이유는 육십갑자에 있다.

축미는 항상 음간과 짝이 되고 진술은 항상 양간과 짝이 되기 때문이다. 지지 자체만의 구조로 봤을 때는 양음의 규칙성이 깨지는 것으로 나오지만 육십갑자의 구조에서는 양음이 지켜지는 것이다.

축미 - 을정기신계
진술 - 갑병무경임

그런데 이것은 충분한 논리는 아니다. 이 논리가 어긋나는 조합이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눈을 돌려 巳와 午를 보자. 사와 오는 각각 병과 정이다.

사 - 을정기신계
오 - 갑병무경임

사는 병이면서 양간이다. 오는 정이면서 음간이다. 그런데 천간과의 조합에서는 음양이 반대로 맺어진다. 이런 현상은 亥와 子에서도 일어난다.

해 - 을정기신계
자 - 갑병무경임

해는 임이면서 양간이다. 자는 계이면서 음간이다. 그런데 천간과의 조합에서는 음양이 반대로 맺어진다.

해자 인묘 사오 신유 음양성은 십간과 같은 흐름을 유지한다. 그런데 해자사오는 천간과의 조합에서 음양성이 반대가 된다. 축진미술 음양성은 십간과 다른 흐름을 갖는다. 하지만 축진미술은 천간과의 조합에서 음양성이 맞는다.

이 문제는 12개의 지지를 10간으로 해석할 때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이다. 음양이란 것은 논리적으로 사실상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양간은 양지와 조합하고, 음간은 음지와 조합한다는 주장은 사실 틀린 주장이다. 그저 지지의 배열이 그러하고 그것을 십간과 조합했을 때 나타나는 필연적 형태다.

지지를 십간으로 어떻게 해석하든 이와 비슷한 문제는 반드시 나타난다.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은 지지를 해석하는 다양한 방법 중에 어느 것이 사주해석에 가장 부합하느냐이다. 물론 이런 문제점을 생각하고 다른 방식의 지지 해석을 해본 사주쟁이들은 거의 없을 거라 본다. 지금부터라도 생각해보면 된다.

이 문제는 사주체계에 대한 근본적 문제 중에 하나다.

2021년 7월 1일 목요일

지지에 대한 해석

 1. 십간과 십이지


사주의 핵심은 오행이고 그것을 확장한 것이 십간이다. 지지는 그 자체로 어떤 의미를 가지진 않는다. 때문에 이를 십간으로 해석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즉, 지지를 십간으로 해석한 것이 지장간이고, 지장간이 지지를 대표하여 해석에 쓰이는 것이다.

2. 사오해자의 음양

지지의 오행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이 있다. 사오와 해자의 음양이다. 천간의 경우 하나의 오행이 양간음간의 순서로 정해져 있다. 천간과 지지가 결합할 때 양간과 양지, 음간과 음지가 결합하는 것으로 본다. 하지만 사오해자의 실제 쓰임은 그 음양이 다르다. 이를 체와 용이 다르다 라고 설명을 한다. 사오와 해자는 음양이 바뀌는 시점이기 때문에 그렇다는 식으로 설명을 한다. 하지만 이는 올바른 해석이라고 볼 수 없다. 왜냐하면 사주는 오행학이기 때문이다. 사오해자의 음양이 바뀌어서 사용되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사실 사오해자의 음양은 바뀐 적이 없다. 지지를 오행으로 다시 적어보자.


 오행    
 목 인 묘  
 화 사 오  
 토 진 미 술 축
 금 신 유  
 수 해 자  


지지의 순서를 오행으로 묶으면 이렇다. 이는 천간의 순서와 완전히 동일하다. 사 - 양화, 오-음화, 해-양수, 자-음수. 지지의 음양은 처음부터 바뀌어 있지 않은 것이다. 천간과 지지의 결합에 있어 양은 양과, 음은 음과 결합해야 한다는 것은 피상적인 설명에 불과하다. 천간의 음양 순서와 지지의 음양 순서는 모두 동일하며 그것을 결합하다 보니 엇갈림이 생긴 것 뿐이다. 천간지지 결합은 단순히 기계적인 것이고, 음양의 엇갈림은 애초부터 따질 필요가 없는 문제다.

3. 지지 오행의 순서

지지 오행의 순서는 뒤죽박죽인 것처럼 보인다. 천간의 오행은 목화토금수 순서대로 진행이 되지만, 지장간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목토 화토 금토 수토의 순으로 되어 있어 마치 엉망인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이것은 필연적 해석이다. 10개의 천간으로 12개의 지지를 해석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나온 해석의 결과인 것이다. 개수를 맞춘다고 지지 2개에는 오행이 없다고 해석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렇기 때문에 불균형적인 해석이 발생한 것이다. 불균형이라고 해서 틀렸다는 것은 아니다. 말 그대로 불균형이 도출된 것 뿐이다.

왜 토가 다른 오행들 보다 개수가 많고 다른 오행들 사이에 끼어 있는 것일까? 오행의 순서에서 목을 시작으로 본다면 토는 중앙에 있다. 이것을 10개의 천간으로 확장할 때는 오행의 개수에 불균형은 없다. 하지만 12지에 배속하게 되면 2개의 지지에 오행을 배속할 수 없게 된다. 그 빈자리에 오행을 채워넣기 위해서는 어떤 오행을 채워넣는 것이 합당할까?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은 가운데 오행을 골고루 배분하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토는 그렇게 지지에 골고루 배속이 된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물상론이 한 몫을 했지만 꼭 그 개념으로 해석할 필요는 없다.

그렇다면 지지의 현재 오행배속만 답인가? 그렇지 않다. 현재 지지에 배속된 오행은 상당히 임의적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얼마든지 기준점을 바꿀 수 있다. 그것이 논리의 힘이다. 다른 오행을 시작점으로 선택해보자. 화를 시작점으로 본다면 금이 중앙이 될 것이고, 이런 형태의 오행을 지지에 배속한다면 지지에는 금이 4개가 될 것이고 다른 오행들 사이사이에 금이 배속될 것이다. 수를 시작점으로 본다면 화가 중앙이 될 것이고, 이런 형태의 오행을 지지에 배속한다면 지지에는 화가 4개가 될 것이고 다른 오행들 사이사이에 화가 배속될 것이다. 어느 시작점으로 하든 우리는 그것에 사변적 해석을 내놓을 수 있다. 어떤 시스템을 사용하느냐는 선택의 문제이다.

단지 현재 지지는 목을 시작점으로 하고 토를 중앙으로 본 해석에 의해 오행이 배속되어 있다. 우리는 이것으로부터 논리적 확장을 통해 얼마든지 지지에 다른 방식의 오행 배속을 할 수 있다. 그것이 현실을 잘 설명해줄 수 있을 지는 응용의 문제다. 이런 논리를 충분히 전개하여 연구할 가치가 있다.


a. 인묘진 사오미 신유술 해자축  : 목목토 화화토 금금토 수수토
b. 인묘 사오 진미술축 신유 해자 : 목목 화화 토토토토 금금 수수

a. 와 b. 를 비교해보자. 어느 것이 더 균형적으로 잘 조립이 되어 보이나?

인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