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역학

2022년 12월 17일 토요일

십이신살, 12신살, 마전신살 - 문제점

 사주 관련하여 굉장히 많은 주장들이 있다. 그것들을 일반적으로 신살이라고도 한다. 많이 쓰는 신살에는 12신살이 있다. 12신살은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12지지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신살 종류가 굉장히 많은데 왜 특정 12가지 신살을 골라서 묶어 놨는지는 모르겠다.


12신살의 문제점이 무엇일까?

1. 논리의 일관성이 없다.

2. 보편적 논리성이 없다. 특정 위치(년지와 일지)만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이 또한 논리적 결함이 있다.


아래 도표를 보자. 삼합의 오행을 기준으로 12신살과 10신을 비교해 보자. 진한 글씨체인 겁살을 살펴보자.


12신살에서 火의 겁살은 亥이고, 木의 겁살은 申이고, 水의 겁살은 巳이고, 金의 겁살은 寅이다. 이것들을 10신의 관점에서 보자. 火에 대해 亥는 관살이고, 木에 대해 申은 관살이고, 水에 대해 巳는 재성이고, 金에 대해 寅은 재성이다. 12신살의 겁살뿐만이 아니라 12신살 어떤 걸 살펴봐도 일관성이 없다는 것이 바로 드러난다.


왜 일관성이 없는 것인가? 오행을 오행으로 안 보고 사행으로 해석했기 때문이다. 즉, 12신살은 오행론을 파괴한 주장이다. 오행론과 맞지 않는 사행론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다. 사행론은 사계절과 관련이 있다. 12신살이 만들어진 것은 아주 오래 전이다. 사주에는 계절개념이 없다는 것을 몰랐던 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여전히 지금도 사주를 계절에 빗대어 이해하려는 사람들이 많지만 완전히 잘못된 생각이다. (사주에는 왜 계절 개념이 없는지 인터넷역학 사주 게시판에서 '계절'로 검색해보기 바란다.)


만약 12신살을 사주 해석에 적용하려면 10신 개념과는 완전히 기반이 다르기 때문에 기준의 혼란만을 야기한다. 12신살만을 쓰거나 10신만을 써야 논리적 모순을 피할 수 있다. 하지만 12신살만을 쓰고 10신을 쓰지 않는다면 음양오행 개념을 포기하는 거와 다름 없다. 이는 곧 사주는 음양오행과는 무관하다는 주장이 되어버리니 그 또한 선택할 수 없는 길이다. 문제 해결은 단순하다. 12신살은 잘못된 개념이니 버리면 된다.


사주와 관련하여 수많은 미신들이 있다. 그 미신들은 잘못된 기준과 믿음에 기인한 것들이다. 우리는 논리의 세계에 살고 있다. 논리적으로 잘못된 것은 버려야 한다.




2022년 11월 13일 일요일

2021년 7월 11일 일요일

지지 해석의 문제점 - 지장간 본기

 십간으로 해석한 지지가 바로 지장간이다.


지지 자체는 사주체계에 맞지 않는 구조인데 육십갑자를 이루는 기본 구성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써야만 한다.  사주체계는 십간이 기준이다. 때문에 지지를 십간으로 해석해야만 비로소 쓸 수 있는 것이다. 그 해석의 결과가 지장간이다.

지장간은 필연적으로 불합리한 모양새를 띨 수 밖에 없다. 12개를 10개로 해석하니 문제점이 나올 수 밖에 없다.

십신의 구조는 양음 양음 양음..의 규칙성이 있다. 그런데 이 규칙이 지지에서 깨져버린다.

 亥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壬 癸 己 甲 乙 戊 丙 丁 己 庚 辛 戊

양음 - 양음
-----------
해자 - 임계
인묘 - 갑을
사오 - 병정
신유 - 경신

여기까지는 좋다.

가.
축 - 기
진 - 무
미 - 기
술 - 무

여기까지도 좋다.

문제는 이것들을 결합했을 때 나타난다. 임계 다음에는 戊가 와야 하지만 己가 왔다. 병정 다음에는 戊가 와야 하지만 己가 왔다.

이 문제를 고치기 위해 조합을 달리 해보자. 그렇게 되면 아래와 같이 되어야 한다.

나.
축 - 무
진 - 무
미 - 무
술 - 무

축진미술 앞에는 음오행이 오기 때문에 축진미술은 항상 양토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己가 사라지는 기가 막힌 일이 벌어진다. 양음의 규칙성을 지키려고 하면 십간 하나가 사라지는 것이다. 이것 또한 올바른 배열이 아니다.

만약 아래와 같은 배열을 사용한다면 어떨까?

다.
축 - 무
진 - 기
미 - 무
술 - 기

가. 와 다. 간의 차이가 있을까? 문제점은 똑같다. 가. 구조나 다. 구조나 양음의 규칙성이 어긋나는 것은 마찬가지다. 그런데 왜 가. 의 구조가 사용될까? 그 이유는 육십갑자에 있다.

축미는 항상 음간과 짝이 되고 진술은 항상 양간과 짝이 되기 때문이다. 지지 자체만의 구조로 봤을 때는 양음의 규칙성이 깨지는 것으로 나오지만 육십갑자의 구조에서는 양음이 지켜지는 것이다.

축미 - 을정기신계
진술 - 갑병무경임

그런데 이것은 충분한 논리는 아니다. 이 논리가 어긋나는 조합이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눈을 돌려 巳와 午를 보자. 사와 오는 각각 병과 정이다.

사 - 을정기신계
오 - 갑병무경임

사는 병이면서 양간이다. 오는 정이면서 음간이다. 그런데 천간과의 조합에서는 음양이 반대로 맺어진다. 이런 현상은 亥와 子에서도 일어난다.

해 - 을정기신계
자 - 갑병무경임

해는 임이면서 양간이다. 자는 계이면서 음간이다. 그런데 천간과의 조합에서는 음양이 반대로 맺어진다.

해자 인묘 사오 신유 음양성은 십간과 같은 흐름을 유지한다. 그런데 해자사오는 천간과의 조합에서 음양성이 반대가 된다. 축진미술 음양성은 십간과 다른 흐름을 갖는다. 하지만 축진미술은 천간과의 조합에서 음양성이 맞는다.

이 문제는 12개의 지지를 10간으로 해석할 때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이다. 음양이란 것은 논리적으로 사실상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양간은 양지와 조합하고, 음간은 음지와 조합한다는 주장은 사실 틀린 주장이다. 그저 지지의 배열이 그러하고 그것을 십간과 조합했을 때 나타나는 필연적 형태다.

지지를 십간으로 어떻게 해석하든 이와 비슷한 문제는 반드시 나타난다.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은 지지를 해석하는 다양한 방법 중에 어느 것이 사주해석에 가장 부합하느냐이다. 물론 이런 문제점을 생각하고 다른 방식의 지지 해석을 해본 사주쟁이들은 거의 없을 거라 본다. 지금부터라도 생각해보면 된다.

이 문제는 사주체계에 대한 근본적 문제 중에 하나다.

2021년 7월 1일 목요일

지지에 대한 해석

 1. 십간과 십이지


사주의 핵심은 오행이고 그것을 확장한 것이 십간이다. 지지는 그 자체로 어떤 의미를 가지진 않는다. 때문에 이를 십간으로 해석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즉, 지지를 십간으로 해석한 것이 지장간이고, 지장간이 지지를 대표하여 해석에 쓰이는 것이다.

2. 사오해자의 음양

지지의 오행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이 있다. 사오와 해자의 음양이다. 천간의 경우 하나의 오행이 양간음간의 순서로 정해져 있다. 천간과 지지가 결합할 때 양간과 양지, 음간과 음지가 결합하는 것으로 본다. 하지만 사오해자의 실제 쓰임은 그 음양이 다르다. 이를 체와 용이 다르다 라고 설명을 한다. 사오와 해자는 음양이 바뀌는 시점이기 때문에 그렇다는 식으로 설명을 한다. 하지만 이는 올바른 해석이라고 볼 수 없다. 왜냐하면 사주는 오행학이기 때문이다. 사오해자의 음양이 바뀌어서 사용되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사실 사오해자의 음양은 바뀐 적이 없다. 지지를 오행으로 다시 적어보자.


 오행    
 목 인 묘  
 화 사 오  
 토 진 미 술 축
 금 신 유  
 수 해 자  


지지의 순서를 오행으로 묶으면 이렇다. 이는 천간의 순서와 완전히 동일하다. 사 - 양화, 오-음화, 해-양수, 자-음수. 지지의 음양은 처음부터 바뀌어 있지 않은 것이다. 천간과 지지의 결합에 있어 양은 양과, 음은 음과 결합해야 한다는 것은 피상적인 설명에 불과하다. 천간의 음양 순서와 지지의 음양 순서는 모두 동일하며 그것을 결합하다 보니 엇갈림이 생긴 것 뿐이다. 천간지지 결합은 단순히 기계적인 것이고, 음양의 엇갈림은 애초부터 따질 필요가 없는 문제다.

3. 지지 오행의 순서

지지 오행의 순서는 뒤죽박죽인 것처럼 보인다. 천간의 오행은 목화토금수 순서대로 진행이 되지만, 지장간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목토 화토 금토 수토의 순으로 되어 있어 마치 엉망인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이것은 필연적 해석이다. 10개의 천간으로 12개의 지지를 해석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나온 해석의 결과인 것이다. 개수를 맞춘다고 지지 2개에는 오행이 없다고 해석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렇기 때문에 불균형적인 해석이 발생한 것이다. 불균형이라고 해서 틀렸다는 것은 아니다. 말 그대로 불균형이 도출된 것 뿐이다.

왜 토가 다른 오행들 보다 개수가 많고 다른 오행들 사이에 끼어 있는 것일까? 오행의 순서에서 목을 시작으로 본다면 토는 중앙에 있다. 이것을 10개의 천간으로 확장할 때는 오행의 개수에 불균형은 없다. 하지만 12지에 배속하게 되면 2개의 지지에 오행을 배속할 수 없게 된다. 그 빈자리에 오행을 채워넣기 위해서는 어떤 오행을 채워넣는 것이 합당할까?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은 가운데 오행을 골고루 배분하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토는 그렇게 지지에 골고루 배속이 된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물상론이 한 몫을 했지만 꼭 그 개념으로 해석할 필요는 없다.

그렇다면 지지의 현재 오행배속만 답인가? 그렇지 않다. 현재 지지에 배속된 오행은 상당히 임의적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얼마든지 기준점을 바꿀 수 있다. 그것이 논리의 힘이다. 다른 오행을 시작점으로 선택해보자. 화를 시작점으로 본다면 금이 중앙이 될 것이고, 이런 형태의 오행을 지지에 배속한다면 지지에는 금이 4개가 될 것이고 다른 오행들 사이사이에 금이 배속될 것이다. 수를 시작점으로 본다면 화가 중앙이 될 것이고, 이런 형태의 오행을 지지에 배속한다면 지지에는 화가 4개가 될 것이고 다른 오행들 사이사이에 화가 배속될 것이다. 어느 시작점으로 하든 우리는 그것에 사변적 해석을 내놓을 수 있다. 어떤 시스템을 사용하느냐는 선택의 문제이다.

단지 현재 지지는 목을 시작점으로 하고 토를 중앙으로 본 해석에 의해 오행이 배속되어 있다. 우리는 이것으로부터 논리적 확장을 통해 얼마든지 지지에 다른 방식의 오행 배속을 할 수 있다. 그것이 현실을 잘 설명해줄 수 있을 지는 응용의 문제다. 이런 논리를 충분히 전개하여 연구할 가치가 있다.


a. 인묘진 사오미 신유술 해자축  : 목목토 화화토 금금토 수수토
b. 인묘 사오 진미술축 신유 해자 : 목목 화화 토토토토 금금 수수

a. 와 b. 를 비교해보자. 어느 것이 더 균형적으로 잘 조립이 되어 보이나?

2021년 3월 24일 수요일

동지세수설의 문제점

 입춘세수설

년을 나누는 기준은 입춘(절기)이고, 월을 나누는 기준은 12절기다.


동지세수설

년을 나누는 기준은 동지(중기)이고, 월을 나누는 기준은 12절기다.


입춘세수설은 일관성이 있다. 반면 동지세수설은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일관성의 결여는 많은 모순을 낳는다. 동지세수설에서는 월과 년의 시작점이 다르게 된다. 시작점이 다르다는 것은 서로 무관하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동지세수설에서는 대운이나 소운이 존재해서는 안 된다.


북반구와 남반구는 해의 길이가 반대다. 북반구에서 동지는 남반구에서는 하지다. 북반구와 남반구는 시간이 반대로 흐르는가? 시간이 반대로 흐른다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 지구는 항상 한 방향으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고, 항상 한 방향으로 자전하고 있다. 시간의 흐름이 북반구나 남반구나 같다는 것이다. 동일 자오선상에서 북반구나 남반구나 정자시 정오시는 항상 같다.


동지세수설은 음양설에 입각한 개념인데 그것을 사주에 도입하면 많은 문제점들을 낳게 된다. 정교하지 못 하고 그저 겉보기에는 그럴듯한 하지만 잘못된 개념일 뿐이다.

http://lifesci.net/pod/bbs/board.php?bo_table=B01&wr_id=2883

2021년 2월 18일 목요일

사주는 계절과 무관하다.

 사주는 계절과 무관하다는 것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이렇다.

1. 사주는 간지로 표현된다.
2. 간지는 주기성을 의미한다.
3. 사계절은 간지로 표현되어야 한다.
4. 사계절이 간지로 표현되면 모순이 발생한다.
5. 사계절에 대응하는 간지는 없다.

사계절을 간지로 표현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그 두 가지 모두 모순이 발생한다.

a. 계절간지는 현행 간지 순서와 일치하지만 사계절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간지의 순서 O
사계절 관계 X

 인묘진 사오미 신유술 해자축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햬 갑자 을축

사계절이 순환되는 순서는 인묘진 - 사오미 - 신유술 - 해자축 이다. 이 순서대로 간지를 배속하게 되면 사계절의 간지는 현행 간지체계와 일치하지만, 간지의 지지가 사계절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는 간지에 사계절의 의미가 담기지 않았기 때문에 사계절을 나타내는 간지라 할 수 없다.

b. 계절간지는 사계절과 일치하지만 현행 간지 순서와 일치하지 않는다.

사계절 관계 O
간지의 순서 X

 인묘진 사오미 신유술 해자축
 갑인 정사 경신 계해
 을묘 무오 신유 갑자
 병진 기미 임술 을축

이번에는 지지를 사계절에 맞춰보자. 사계절과 맞는 지지로 간지를 배속했을 때는 이렇게 나올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이는 간지가 순환되는 순서와 일치하지 않는다. 갑인, 정사, 경신, 계해, 을묘, 무오, 신유, 갑자는 현재 육십갑자 체계와 맞지 않는 순서다. 따라서 이 경우는 사계절의 간지가 간지체계와 모순된다.

사계절이 사주적으로 의미를 가진 주기성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반드시 간지로 표현되어야 한다. 하지만 사계절의 의미를 담은 간지는 현행 간지 체계와 맞지 않는다. 따라서 사계절을 나타내는 간지는 없다. 사계졀을 나타내는 간지가 없기 때문에 사계절이란 개념은 사주에서 사용할 수 없다.

사계절은 사주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개념이다. 사주의 논리에는 없는 개념이다. 우리의 일상적인 경험을 무작정 구겨넣은 것에 불과하다. 사계절을 간지로 표현하지 않고 사계절만 주장하는 것은 무논리다.

이 두 문장은 동치다.

"사주에는 사계절이 없다."
"사주에는 계절간지가 없다"

사계절이 의미가 있다고 주장하고 싶다면 이 논리를 반박해야 한다.



인기 글